전체 글 1795

부스러기의 변신

부스러기의 변신 조 은 미 며칠 장마 끝에 해가 반짝 난다. 늘 그 자리를 지키고 있던 햇빛의 존재가 잠깐 자리를 비운 부재로 인해 더 없이 소중하고 고마운 생각이 든다. 뽀송한 아침 햇살에 찌뿌둥한 몸과 마음을 거풍 시키려 뜨락에 내려선다. 뺨에 닿는 바람이 상큼하다.신선한 아침 공기가 마음을 쇄락하게 한다. 며칠 전 가지치기한 정원의 나무들도 더 생기롭고 넉넉해보인다. 뜨거워지기 전 한 시간여 파크 골프 연습으로 땀을 흘리고 나니 시장기가 든다. 뭔가 입맛을 사로잡을 특별한 음식이 없을까? 냉장고를 열어보니 먹다 놓친 야채들이 손을 기다린다. 엊그제 지인이 손수 농사지어 보내준 햇감자도 찡긋 윙크를 보낸다. 솥뚜껑 운전수 몇 십년인데 재료만 있으면 뭔들 못해볼까? 한 번도 안해본 레시피에 창의적으로 ..

무엇이 소중한가?

무엇이 소중한가? 조 은 미 장마가 시작됐나 보다. 무더위 끝에 빗소리가 반갑다. 더위에 헉헉거리던 잎새들이 생기가 돈다. 그동안 너무 무리했는지 자꾸 잠이 쏟이진다.몸의 소리에 귀 기울이며 모처럼 달콤한 게으름 속에 뒹군다. 어느새 9시가 겨웠다. 문득 깜박 잊고 있던 약속이 떠올랐다. 10 시에 면사무소 대회의실에서 군수님을 모시고 진행하는 깨끗한 하천 만들기 캠페인 행사가 있는날이다.용수철 튕기듯 벌떡 일어나 서둘러 나선다. 주민 자치 위원으로 선임된 이후 될 수 있는 한 크고 작은 공식 행사에 참여하려 노력한다. 고향을 위한 봉사에 작은 힘이라도 보태고 싶은 마음이다. 비가 오는 대도 많은 분들이 모였다. 환경에 대해 이렇게 관심을 갖고 계신 분들이 많다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하천은 지역민들의..

한여름이 덥지만은 않은

한여름이 덥지만은 않은 조 은 미 우리나라 말에 '미치다' 라는 말이 있다 사전을 찾아보면 여러 다른 뜻으로 쓰임을 알 수 있다. 정신에 이상이 생겨 본성을 잃게되는 것을 나타내는 부정적 의미로 쓰이기도 하고 또 어떤 일에 몰두하거나 깊이 젖어드는 상태를 일컫는 긍정적인 의미로도 쓰인다. 젊었을 때는 갖고 싶은 것도 많고 하고 싶은 일도 많았다. 그러나 언제 부터인지 매사 딱히 좋을 것도 , 나쁠 것도 없는 회색 지대에서 엉거주춤한 자신을 발견한다. 나이가 들수록 희로애락의 감정이 무뎌져 공감 능력이 떨어진다. 주변의 것들에 무반응으로 점차 감정 곡선이 수평을 이루게 되면 사는 것이 재미 없어지고 단지 시간을 축내는 무미건조한 삶을 살게 된다.열정적으로 몰입해서 무엇인가 미치도록 하고 싶은 일이 있을 때..